이순신 평전
난중일기 : 유네스코 세계 기록 문화 유산
이순신 (1545~1598) (54세)
임진왜란: 1592 (47세)
정유재란: 1597 (54세)
난중일기(정조 유득공이 붙인 이름) 국보76호(난중일기,임진장초,서간첩)
임진: 옥포5,당포6,한산도7,부산포9해전
계사: 웅포2,견내량해전
갑오: 당항포3해전
을미: 원균과불화
병신:
정유: 거제,안골포, 칠천량,벽파진,어란포,명량해전
무술일기 (11/17 마지막 일기 : 왜선 발견한 만호 한산도 추적 포획한 왜선과 군량미 명군에게 빼앗김 보고) => 11/19 노량해전 전사
임진년 4/15 왜선 출몰 공문 접수(경상우좌수사)
계사년 8/15 (10/9) 삼도 수군통제사 임명
정유년 1/27 이순신 파직, 원균 수군 통제사 임명
정유년 4/1 출옥 4/13 모친 임종 부고 받음 (4/11 일기에 이미 새벽 꿈에서 징조느낌)
정유년 7/16 칠천량 전투 원균 전사 (조선 수군 전멸)
정유년 8/3 : 삼군 수군 통제사 재임명
정유년 9 수군폐지명령 수군잔류장계승락
정유년 10 면 전사
정유년 9/16 : 명량해전
일본의 입장 (임진왜란 침략 이유)
히데요시가 일본의 군소 막무의 통합 이후 다이묘들의 경작지 확보 위해
중국을 공격하여 천자가 되기위해 길을 여라는 명을 거부한 조선을 벌주기 위해
원,고려 침공의 원한을 되 갚는 정당 행위
도쿠가와 이에야쓰의 역할 : 본국 내 병참 확보 및 물자지원(대기만성 실권기회포착)
< 이순신 주변 인물 >
서애 유성룡(1542~1607) => 인재를 알아보는 현안, 지속적 신뢰와 지원, 징비록의 의의
1566(25세 별시문과급제)
1590(49세 우의정)
1592(51세 개성피난시 영의정임명후 모함으로 곧 부원군으로 서용 다시 전란 내 영의정)
1598( 관직에서 물러나 안동 하회에서 징비록 기록 국보132호)
1607( 66세사후 병산서원에 향사)
선조 (최악의 리더) 원균 (출세지상 주의), 진린 등등
< 이순신의 삶 >
이순신의 성품
정직(원칙), 정의(공정), 효, 도리, 사리 판단력, 충절, 인내, 가족사랑, 애민정신
이순신의 감성
술, 시(난중일기3편 이충무공전서4편),눈물, 고독(잔을 이루지 못했다), 꿈(내적열망)
이순신의 행
관찰, 기록, 보고(임진장초), 논의(소통), 신상필벌, 효행,사랑(子면 백성)
이순신의 삶
생각한대로 살았던 인물
스스로를 변화시킨 인물 (유년기 성품(강,고집,급함)=>인내 의지 순서) 일기로서 반성고찰
학습과 습관을 통해 자신과 세상을 변화 시킨 인물 (문무 겸비)
소통의 달인
백성의 사랑을 받는 지도자
정약용 삶의 등급
1등급 옳음을 지키고 이익을 얻는 것
2등급 옳음을 지키고 해를 당하는 것 (이순신, 정약용)
3등급 그름을 좆고도 이득을 얻는 것
4등급 그름을 좆고 해를 당하는 것
< 이순신의 리더모습? >
-. 꿈을 만들어주는 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자가 아니다. 오히려 그런 자를 알아보고 그런 이를 주변에 끌어 성과를 만들어 내는 사람이다. 그리고 그들을 키울 수 있는 사람
피커드리거 ( 물음의 답 3종 뭐하십니까? 벽돌을 쌓고있다. / 담을 쌓고 있다 / 성당을 짖고 있다)
-. 위임하는 자
신뢰를 바탕으로 부하의 능력을 알아보고 과감한 위임으로 창의적이며 강한 조직을 형성하는자
-. 공정한 자
불공정한 경기는 재미도 없고 뛰는 선수 역시 사력을 다하지 않는다. 리더는 항상 공정한가를 먼저 생각하고 행동 해야한다. 리더의 신뢰는 공정함에 있다. (신상필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