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담기/사진자료정보

팬포커스 설정이론 공부

팡씨1 2011. 9. 6. 00:00

 

풍경 사진에서 앞에서 부터 먼 곳까지 모두 초점이 맞은 한마디로 쨍한 사진을 찍기 위해 알아야 할 사항이지요.

다시말하면 피사계심도가 깊은 사진을 찍기 위한 내용이라는 것입니다.

먼저 카메라 메뉴에서 기본적으로 셋팅하고 촬영 과정에서도 지켜야할 것들이 있습니다.

1. 취향에 따라 선택해야겠지만 sharpness와 contrast를 hard 쪽으로 조정하고

2. 카메라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삼각대, 미러업-ON, 릴리즈)를 한 다음

3. 찍고자하는 화각으로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앞에서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을까??를 구하는 것이

바로 Hyperfocal Distance(우리말로 "과초점거리"라고 함)를 구하는 것이 오늘 강좌의 핵심 내용이 되겠습니다.

 

어느 화각에서 조리개 얼마를 놓고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앞에서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을까를 구하는 것입니다.

 

어떤 렌즈를 가지고 초점을 잡는데 이과정에서 초점을 잡는 지점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문제를 "과초점거리"와 연관해서 자세히 기술하겠습니다.

 
    과초점거리란 어떤 렌즈의 임의 초점거리에서 한 지점에 초점을 맞췄을 때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거리를 말합니다. 꼬부랑글로 Hyperfocal Distance(H.D)라고 합니다

.
    이 H.D를 구하는 공식은 처음 부터 근초점거리, 원초점거리 어쩌고 저쩌고 하면 머리 아프니까

 
    아래 공식 하나 만 외워 두시고 활용하시면 됩니다.

    H.D=F*F/a*c + F

과초점거리=초점거리의 제곱/조리개값 곱하기 허용착란원크기 + 초점거리 


          F : 촬영렌즈의 초점거리(mm)
          a : 유효구경(조리개 값) 
          c : 허용착란원의 크기(mm)

**착란원(Circle of Confusion)이란 실제 원(圓)이지만 점(點)으로 인식하는 최소 크기의 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한계 때문에 원이지만 점으로 보여 초점이 맞은 것 처럼 보이는 허용치인 셈이죠.
이것을 "허용착란원의 크기"라고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다른 것은 다 아는데 허용착란원의 크기를 모르죠?
많이 사용하는 카메라의 허용착란원을 알려드릴테니 대입해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니콘 :  D3x, D3s, D3, D700   ------------- 0.03mm 를 제외한 나머지
D300s, D300, D200, D100, D2X, D2Xs, D2H, D2Hs, D1H, D1X, D90, D80, D70, D70s, D60, D50, D40, D40X 는 -----  0.02mm
CANON : 5D(MarkⅡ), 1Ds(MarkⅡ, MARKⅢ)  ------  0.03mm
1D(MARKⅡ, MARKⅡN, MARKⅢ, MARKⅣ)  ------  0.023mm
나머지 모두  ------  0.019mm
SONY  :  A900, A850  ------  0.03mm 나머지는 모두 0.02mm

그러면 예를 들어 볼까요?

니콘D700,  24-70렌즈를 이용하여 50mm로 f11에 놓고 찍는다고 가정하면 위 공식에서

      H.D=50*50/11*0.03 + 50=7625mm=7.625m 가 됩니다.

이것은 7.625m에 초점을 맞추면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거리인데 여기서 이 지점의 앞쪽은

그 거리의 1/2 즉 3.8m 정도에서 부터 초점이 맞는다는 것입니다.

정리하면 50mm의 렌즈로 f11에 놓고 7.625m에 초점을 맞추면 3.8m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사진이 된다 이런 말입니다.

 

 

팬포커스 관련 사이트    http://www.dofmaster.com/dofjs.html 

Depth of Field Calculator

-->
Camera, film format, or circle of confusion


Focal length (mm)
Selected f-stop
Subject distance


Subject distance  20 m
 
Depth of field 
Near limit  5.32 m
Far limit  Infinity
Total  Infinite
 
In front of subject  14.7 m
Behind subject  Infinite
 
Hyperfocal distance  7.29 m
Circle of confusion  0.03 mm
Use the actual focal length of the lens for depth of field calculations. The calculator will automatically adjust for any "focal length multiplier" or "field of view crop" for the selected camera.

Focal lengths of digital camera lenses are listed here.
Focus at the subject distance, 20 m  
Infinite
5.32 m   Infinity
  Focus at the hyperfocal
distance, 7.29 m
 
  Depth of field extends from
3.645 m to infinity
 





Depth of Field Definition

Hyperfocal, near, and far distances are calculated using these equations.

Circles of confusion for digital cameras are listed here.





Depth of Field: The zone, or range of distances, within a scene that will record as sharp ... It is one of the most creative and profound effects available to photographers.

Using Your Digital Camera, George Schaub, 2003


'사진담기 > 사진자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디카의 조작법  (0) 2012.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