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거리/삶의 이야기

공자가 말하는 인간관계 이론

팡씨1 2013. 10. 18. 13:48

 

 

공자의 인간관계 6가지 이론

 

1.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라.

  기소불욕물시어인[ 己所不欲勿施於人 ]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도 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己 : 자기 기
所 : 바 소
不 : 아닐 불
欲 : 하고자 할 욕
勿 : 말 물
施 : 베풀 시
於 : 어조사 어
人 : 사람 인 (지소불욕 물시어인)

 

 

2.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 걱정 말고 내가 남을 알아 보지 못함을 근심하라.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불환인지불기지 환부지인야)

남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자신이 남을 알지 못함을 걱정해야 한다.

不患人之不己知 患其不能也(불환인지불기지 환기불능야 )

남이 나를 알아주지 못함을 걱정하지 말고 자신이 능함(능력)이 없음을 걱정해야 한다. 

 

 

3. 잘못을 알았다면 고치는데 주저하지 마라.

 

4. 자신과 다른 것을 공격하는 것은 자신에게 해로울 뿐이다.

공호이단 사해야이 攻乎異端 斯害也已 (이단적인 것을 공부하는 것은 해가 될 뿐이다)

서로다름을 인정하고 소통하라

 

5. 군자는 모든 책임을 자기에게서 찾는다.

君子는 求諸己요 小人은 求諸人이니라
군자 구저기 소인 구저인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군자는 자기에게서 구하고 소인은 남에게서 찾는다. - 내 탓이요, 내 탓이요, 내 큰 탓이로소이다

 

6. 군자는 모든 사람과 조화를 이루나 같음을 강조하지 않는다

화이부동'(和而不同)

화이부동은 공자가 논어에서 "군자는 화이부동(和而不同)하고 소인은 동이불화(同而不和)하다"고 말한 데서 비롯한 성어로,

`남과 사이좋게 지내기는 하나 무턱대고 어울리지는 않는다'는 뜻.